24평도 호텔처럼! 아파트 리모델링 전 반드시 확인할 10가지

 24평도 호텔처럼! 아파트 리모델링 전 반드시 확인할 10가지


안녕하세요 :)

요즘 20평대 아파트도 리모델링만 잘하면

진짜 ‘호텔 같은 집’이 될 수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특히 24평은 구조가 심플한 만큼

동선, 디자인, 수납을 잘만 설계하면

넓고 세련된 느낌까지 충분히 낼 수 있어요!


하지만!

무턱대고 공사 들어갔다가는

예산 초과, 공사 지연, 후회만 남을 수 있답니다 


오늘은 리모델링 준비 중이라면 반드시 체크해야 할 10가지 포인트를

경험자 입장에서 정리해드릴게요.

특히 24평 이하 소형 아파트 거주자분들께 꼭 필요한 내용이에요!

인테리어계획
인테리어계획


평면도 체크: 벽을 허물 수 있는가?

24평 아파트는 방 3개 + 거실 구조가 많은데요,

좁은 느낌을 줄이기 위해선 가벽 철거 여부 확인이 필수예요!


철거 불가 구조벽(내력벽)이 있는지

벽을 허물어 거실+주방 통합형으로 만들 수 있는지

반드시 시공 전 구조 도면을 확인하세요.

인테리어계획
인테리어계획


동선 재구성: 생활 패턴 맞게 바꾸기

“왜 주방이 이렇게 불편하지?”

“욕실은 있는데 세탁기는 어디에 두지?”


리모델링 전 가족 동선과 생활패턴 분석은 필수입니다.

예를 들어,


부부 위주 거주 → 안방 드레스룸 + 부부욕실 강조

1인 거주 → 거실 확장 + 수납 중심

아이 있는 집 → 아이방과 거실 동선 분리


가구 위치까지 미리 계획하면,

불필요한 공사를 줄일 수 있어요.

인테리어계획
인테리어계획


샷시 교체 여부 확인

오래된 아파트는 대체로 샷시가 알루미늄이거나 단열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요.

외풍, 소음, 곰팡이 문제까지 이어질 수 있어서

예산이 허락된다면 샷시 교체 강력 추천!


비용은 브랜드에 따라 400~800만 원대 예상.

인테리어계획
인테리어계획


전기 배선 & 콘센트 위치 조정

호텔 느낌의 인테리어를 하려면

간접조명, 무드등, 벽걸이TV 등 전기 설비를 미리 고려해야 해요.


기존 콘센트 수 부족 문제

TV 벽선 노출 방지

주방/욕실 조명 설치 위치


전기 공사는 리모델링 초기에 계획해야 하므로

꼭 리스트로 정리해두세요!

인테리어계획
인테리어계획


도장? 필름? 벽 마감 방식 결정하기

벽 마감은 인테리어 분위기를 좌우하는 핵심이에요.

요즘은 도장 마감이나 몰딩 없는 깔끔한 벽지가 트렌드입니다.


도배: 기본 마감, 관리 쉬움

도장: 호텔 감성, 깔끔하지만 비용 상승

필름: 시트지 리폼으로 저예산 구현 가능


예산, 유지 관리 편의성에 따라 선택하세요.

인테리어계획
인테리어계획


바닥 재질 선택

24평은 바닥 자재 선택만 잘해도 공간이 넓고 고급스러워 보여요.

요즘 인기 있는 바닥재는 다음과 같아요:


강마루: 가성비 좋고 시공 쉬움

원목마루: 따뜻한 감성 but 비용↑

포세린 타일: 호텔 감성 극대화, 단점은 추위와 가격


호텔 스타일을 원한다면 매트한 대형 타일 + 간접조명 조합 추천!


욕실 디자인 & 수납 동선

소형 아파트일수록 욕실은 작지만 효율적으로 만들어야 해요.


거울장, 슬라이딩장 등 수납 고려

간접조명 + 포세린타일 시공 → 분위기 UP

도기류(변기/세면대)는 디자인 일체감 중요


욕실은 면적이 작아도 투자한 만큼 체감이 큽니다.


주방 동선 & 가전 수납 계획

주방은 ‘예쁘게’보다

실용성과 동선을 먼저 챙기세요.


냉장고/전자레인지/정수기/밥솥 위치 고려

아일랜드 식탁 or 일자형 배치로 공간 활용

조명도 무조건 밝게보단, 주방등+간접등 조합 추천


꼭 가전 사이즈 미리 측정하고 설계 도면에 반영하세요!


수납공간 확보 전략

작은 집일수록 수납이 곧 디자인이에요.

붙박이장을 무조건 늘리기보단

숨겨진 공간 활용이 포인트!


예시:

현관장 하부 띄움 → 신발 + 청소도구 수납

침실 침대 아래 → 서랍형 or 리프트형 침대

주방 벽 → 선반 설치 or 키 큰 팬트리장


전체 공사 스케줄 & 입주일 계산

마지막으로 중요한 건

공사 스케줄 + 입주일 체크!


철거도배까지 평균 35주 소요

자재 지연, 인력 문제 발생 가능성 고려

공정별 체크리스트 만들어 관리 추천


특히 입주일이 정해져 있다면

2달 전부터 설계 + 견적 → 계약 순서로 준비하셔야 해요.


마무리 체크리스트

구조 변경 가능 여부 파악 

생활 동선 분석 및 가구 배치

샷시, 전기, 단열 등 하드웨어 확인

조명, 벽지, 바닥 디자인 결정

수납 전략 + 전체 예산 분배


마무리 한 줄 요약

24평도 충분히 호텔처럼 바뀔 수 있어요.

중요한 건, ‘디자인’보다 ‘기획’입니다!


감성 + 기능을 동시에 잡기 위해선

공사 전에 체크리스트로 꼼꼼히 준비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예산 50만 원으로 자취방 꾸미기 도전! 현실 후기

망하지 않는 인테리어! 일정표 하나로 끝내는 시공 관리 노하우

20평대 신혼집 가구 배치기: 이건 꼭 알아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