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업체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인테리어 업체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후회 없는 인테리어를 위한 필수 준비사항
인테리어 공사, 평생 몇 번이나 할까요?
몇 천만 원이 오가는 큰 계약인 만큼, 계약 전에 이것만은 꼭 체크해야 합니다.
특히 인테리어 업체와 계약할 때는 '가격'보다 계약 내용의 디테일이 훨씬 중요해요.
오늘은 제가 직접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면서 느꼈던,
실제 계약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항목들을 정리해드릴게요.
![]() |
인테리어계약체크리스트 |
인테리어 계약 전 체크리스트 7가지
1. 정식 사업자 등록 여부
사업자등록번호가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
‘지인 소개’ 혹은 SNS 업체라도 반드시 사업자 여부 확인
홈택스에서 무료로 조회 가능
팁: 간이사업자거나 등록이 안 되어 있다면 계약 피해 시 법적 보호받기 어렵습니다.
![]() |
인테리어계약체크리스트 |
2. 견적서 상세 내역 확인
자재 브랜드, 규격, 시공 범위 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도배 포함'이라 되어 있어도 어떤 벽지인지 모르면 나중에 분쟁 발생
꼭 들어가야 할 항목 예시:
철거 여부
도장/도배 자재 브랜드
바닥재 종류 (강마루/장판 등)
욕실 위생기기 브랜드
가구, 싱크대, 조명 포함 여부
3. 계약서에 공사 기간 명시
시작일과 종료일 명확히 기재
“일정은 추후 협의”로 적혀 있으면 지연 시 책임지기 어려움
공기 지연 시 지체상금 조항이 있는지도 체크!
![]() |
인테리어계약체크리스트 |
4. 하자보수 (A/S) 기간 확인
보통 1년~2년 무상 A/S 제공이 일반적
A/S 범위와 신청 방식까지 명시되어야 안전
예: “전기 누전, 수전 누수, 도어틀 뒤틀림 등 무상 보수 1년 보장” 등
5. 계약금/중도금/잔금 비율 확인
일반적으로 3분할 (계약금 10~20%, 중도금 40%, 잔금 40%)
공사 진척 상황에 따라 분할 지급해야 리스크 낮아져요
시공 완료 전에 잔금 전부 지급은 절대 NO!
![]() |
인테리어계약체크리스트 |
6. 중도 변경 시 추가비용 기준
공사 중 자재 변경이나 추가 요청할 경우
→ 추가 비용 산정 기준이 계약서에 있어야 해요
예: "자재 변경 시 단가 차액만 반영" 등
7. 책임자와 소통 방식
현장 책임자가 누구인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할지(전화/카톡/현장 미팅) 정해두기
시공 중 이슈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려면 중요해요
![]() |
인테리어계약체크리스트 |
계약서 없이 진행? 절대 안 됩니다!
‘믿고 맡겨요~’라는 말로 구두로만 진행하다가
공사 지연, 자재 누락, 하자 문제 등으로 분쟁 나는 경우 정말 많습니다.
꼭 서면 계약서를 작성하고, 아래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다시 한번 체크하세요.
사업자 정보
시공 범위 및 자재 상세
공사 기간
지급 조건 및 일정
A/S 조건
책임자 연락처
![]() |
인테리어계약체크리스트 |
마무리하며
인테리어 계약은 그냥 ‘도장 찍는 것’이 아니라,
내 공간과 시간을 지키는 법적 안전장치예요.
작은 부분 하나하나 꼼꼼히 확인하고 계약하셔야
공사 이후에도 마음 편히 지낼 수 있어요.
오늘 정리한 체크리스트, 꼭 캡처해두셨다가
계약 전 마지막 점검으로 활용해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