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견적비교인 게시물 표시

첫 리모델링을 위한 필독! 아파트 인테리어 견적서 꼼꼼히 보는 법

이미지
 첫 리모델링을 위한 필독! 아파트 인테리어 견적서 꼼꼼히 보는 법 첫 번째 리모델링은 설레는 만큼 ‘견적서 한 장’이 잘못돼도 비용·일정·품질 문제로 스트레스가 큽니다. 견적서에는 작은 글씨로도 큰 비용이 숨어 있으니, 계약 전 10분의 꼼꼼한 확인이 추후 수백만 원을 절약합니다. 초보자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핵심 포인트와 실전 체크리스트로 정리했습니다. 인테리어견적서 왜 견적서를 꼼꼼히 봐야 할까? 견적서는 단순한 금액표가 아닙니다. 공사 범위, 자재 스펙, 지급 조건, A/S(하자보수) 기준, 추가 공사 발생 시 절차 등이 모두 적혀 있어야 책임 소재와 비용 발생 기준이 명확해집니다. 이 항목들이 불명확하면 공사 중·후에 분쟁이나 추가비용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인테리어견적서 견적서 핵심 10포인트 체크리스트 다음 10가지는 반드시 확인하세요. 견적서에서 항목이 빠져 있거나 모호하면 즉시 수정 요청합니다. 공사 범위(스코프) 어떤 공간(주방, 욕실, 거실, 발코니 등)을 어떤 수준까지 시공하는지(철거, 재시공, 마감 포함) 명확히 기재됐는가? 자재 명세(브랜드·모델·규격·수량) 같은 '타일 교체'라도 브랜드·치수·수량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큽니다. 브랜드, 모델명, 규격, 색상 코드까지 기재되어야 비교 가능. 단가·수량·총액 산출 근거 단가와 수량이 명확한가? 총액이 어떻게 산출됐는지 확인하세요. 시공 일정(착수일·완료일)과 기간 착수일, 완료일, 공정별 마일스톤(철거→배관→타일→마감 등) 표기 여부. 결제 조건(착수금·중도금·잔금·세금계산서 여부) 권장: 착수금 10~30%, 중도금은 공정별 분할, 잔금 10~20%는 최종 검수 후 지급.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여부 확인. 추가공사·변경(체인지오더) 절차 추가 비용 발생 시 서면 합의 없이는 진행하지 않겠다는 조항을 넣으세요. 하자보수(A/S)·보증 기간 보증 기간(예: 마감 1년, 설비 2년), A/S 접수 방식과 응답 시간 명시. 철거·폐기물 처리비 포함 여부 철거비·폐기물 처리비가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