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전문가가 알려주는 24평 리모델링, 예산별 견적표 활용법
인테리어 전문가가 알려주는 24평 리모델링, 예산별 견적표 활용법
안녕하세요!
셀프 인테리어보다 전문가 설계 리모델링에 관심 있으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실전에서 꼭 필요한 ‘예산별 견적표 활용법을 알려드릴게요.
특히 요즘 가장 많이 리모델링하는 평수 중 하나인 24평 아파트!
신혼부부부터 어린 자녀를 둔 가족까지 정말 많이 찾으시는 구조죠.
그런데 견적서를 받아보면,
항목이 너무 많아 헷갈리고
자재명도 어렵고
어디를 줄이고, 어디를 늘려야 할지 막막하다는 분들 많으세요.
그래서!
실제 리모델링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예산에 따른 견적서 보는 법 + 똑똑하게 활용하는 팁을 소개해 드릴게요
![]() |
24평아파트 |
Step 1. 견적표, 항목부터 파악하세요
보통 리모델링 견적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철거 공사: 기존 자재 철거 및 폐기물 처리
바닥 공사: 장판, 강마루, 타일 등
벽/천장 마감: 실크벽지, 도장, 몰딩 등
욕실 공사: 철거 + 타일 + 위생도기 포함 여부 확인
주방 공사: 싱크대, 상판, 수전, 후드, 타일 등
중문·문짝·붙박이장: 옵션 항목으로 자주 빠짐
전기 및 조명: 매입등, 스위치, 콘센트 교체 등
기타 옵션: 도어락, 시스템에어컨, 아트월 등
여기서 중요한 건
기본 공정인지 / 선택 옵션인지
자재 브랜드 명시 여부입니다.
![]() |
24평아파트 |
Step 2. 예산대별 견적표, 이렇게 활용하세요!
예산 1,500만 원 이하
“전체 분위기만 바꿔도 만족도 ↑”
우선순위 항목: 도배, 바닥, 조명
주방/욕실은 기존 구조 유지하면서 필름 or 부분교체로
중문은 알루미늄 3연동 저가형으로 설치 가능
팁: ‘올수리’ 욕심은 줄이고,
“내가 가장 자주 쓰는 공간부터 확실히” 바꾸는 전략!
예산 2,000만~2,500만 원
“기본은 하고, 한두 포인트는 감성 업”
욕실 1곳 전체 교체 가능 (수전, 타일 포함)
주방은 보급형 싱크대 전체 교체
중문은 슬라이딩 도어 or 디자인 중문까지 가능
강마루나 소폭마루로 바닥 업그레이드 가능!
견적서 체크포인트
“도기/수전/후드 브랜드 명시 여부”
“단가에 부가세, 공임 포함 여부”
예산 3,000만~3,500만 원
“올수리 실현 가능한 현실 예산대!”
철거부터 마감까지 올리모델링 가능
욕실 2곳 + 주방 + 전체 조명 + 바닥 + 도배 전부 교체
시스템 중문 or 슬라이딩 포켓도어도 가능
주방에 키큰장, 냉장고장 추가해 수납력 UP!
체크:
자재 리스트에 ‘국산or수입’ / 고급or실속 등급 명시되었는지 확인하세요.
같은 이름의 견적도 자재 수준에 따라 500~800만 원 차이 날 수 있어요.
![]() |
24평아파트 |
Step 3. 견적서 비교 시 체크리스트
철거+폐기물 처리 포함 여부
미포함된 견적은 추가로 수백만 원 발생 가능!
공사 기간 명시 여부
보통 2주~3주. 일정 미정 시 입주일 늦어질 수 있음.
AS 기간 / 시공 보증 확인
보통 1년 기본, 누수나 도기파손은 따로 확인
공사관리비 or 부가세 별도 명시
견적이 싸다고 계약했는데, 추가 10% 붙는 경우 많음
![]() |
24평아파트 |
전문가 팁: “예산 정해놓고 견적서 수정 요구하세요!”
많은 분들이 “얼마면 돼요?” 하고 전체 견적을 받으시는데,
사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내가 정한 예산에 맞춰 업체에 견적을 맞춰달라고 요청하는 겁니다.
예:
“예산은 2,000만 원이에요.
중문은 꼭 넣고, 주방은 꼭 바꾸고 싶어요.
그 외는 줄여도 괜찮아요.”
이렇게 요청하면 불필요한 과잉 시공을 줄이고, 맞춤형 제안을 받을 수 있어요.
![]() |
24평아파트 |
마무리하며
견적표는 단순히 “얼마 나왔는가”를 보는 것이 아니라,
내 집의 가치를 어디에 투자할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비슷한 금액을 들여도 누군가는 잘 살고, 누군가는 후회하는 이유?
바로 견적표의 활용력과 우선순위 설정에 달려 있어요!
당장의 가격보다
“10년 뒤에도 만족할 수 있는 공간인가?”를 기준으로
지혜롭게 판단해보세요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