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견적 호갱 탈출! 100만 원 아끼는 똑똑한 예산 짜기

 인테리어 견적 호갱 탈출! 100만 원 아끼는 똑똑한 예산 짜기


“처음엔 이 가격이 아니었는데요?”

“이건 추가라고요? 말씀이 없으셨잖아요...”

인테리어 견적서를 받아본 후,

막상 공사가 끝나고 나서야 ‘호갱’이 됐다는 사실을 깨닫는 분들, 의외로 많습니다.

예산 초과, 과도한 자재 업그레이드, 애매한 추가 비용은 대부분 견적서 단계에서 시작되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조금만 전략적으로 예산을 짜면 인테리어 비용에서 100만 원 이상은 충분히 아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인테리어 호갱 탈출을 위한 ‘똑똑한 예산 설계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인테리어비용절약
인테리어비용절약


1. 견적서는 ‘총액’보다 ‘항목별 단가’를 먼저 보자

대부분 견적서를 보면 맨 아래 총합만 보고 싸다, 비싸다를 판단합니다.

그러나 똑똑한 소비자는 단가 항목별로 꼼꼼히 비교합니다.


예를 들어,


도배 ㎡당 단가


마루 3.3㎡(평)당 시공 단가


전기/조명 공사 별도 여부


철거 및 폐기물 처리비 포함 여부


총금액만 보면 비슷해 보여도,

세부 항목의 포함/제외 여부에 따라 실제 비용은 차이가 큽니다.

정확히 비교하면 평균 50만 원~100만 원 차이도 생깁니다.

인테리어비용절약
인테리어비용절약


2. ‘기본형’ 자재로 시작하고, 필요한 것만 업그레이드

업체에서 자주 쓰는 말:

“이건 다들 업그레이드하세요”

“이건 기본 자재보다 마감이 훨씬 좋습니다”


그럴 듯하게 들리지만,

모든 항목을 업그레이드하면 예산은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실제로 쓰지 않거나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까지 고급 자재를 쓰는 건 비효율적이에요.


이렇게 해보세요:


눈에 잘 보이는 공간 (거실, 주방 상판, 욕실 타일)은 포인트 업그레이드


벽 뒷면, 베란다, 창틀 등은 기본형 자재 사용


바닥재도 전체 마루 대신, 거실+방 구간만 시공 고려


선택과 집중 전략만으로도 50~70만 원 절감 가능합니다.

인테리어비용절약
인테리어비용절약


3. 꼭 필요한 시공만 고르자: ‘풀 리모델링’이 정답은 아니다

인테리어 = 올수리?

절대 아닙니다.


전체 공사를 진행하면 물론 깔끔하지만,

실제로 생활에 꼭 필요한 공간만 부분 리모델링해도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산 아끼는 똑똑한 선택법:


벽지는 전부 교체하되, 바닥은 보존


주방은 상부장만 교체하고 하부장은 도어 리폼


욕실은 도기 교체 + 실리콘 작업만 진행


시스템 에어컨은 향후 시공으로 미루기


부분 시공만으로도 최대 30~100만 원 이상 예산 조절이 가능합니다.

인테리어비용절약
인테리어비용절약


4. 부가세와 설계비 포함 여부 꼭 확인

견적서를 받고 “괜찮은데?” 했다가

막상 계약서 쓰려 하니

“부가세 별도예요”, “디자인 설계비는 따로입니다”

라는 말을 듣고 놀라는 분들 많죠.


부가세(10%)는 금액이 커질수록 상당한 차이를 만들고,

설계비는 업체에 따라 20~50만 원까지 별도 부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산 예시

2,000만 원 견적 × 부가세 10% = 200만 원 추가

설계비 30만 원 = 총 230만 원 차이 발생


계약 전에 반드시


부가세 포함인지


설계비, 감리비, A/S 비용 포함인지

묻고 또 묻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인테리어비용절약
인테리어비용절약


5. ‘추가 공사’는 무조건 서면으로 받기

공사 중간에 “이것도 바꿀까요?”라는 제안, 자주 등장합니다.

이때, 그냥 말로만 “네, 그렇게 해주세요” 하면

최종 금액이 천정부지로 오를 수 있어요.


반드시 해야 할 것:


변경 요청은 문자 또는 카카오톡으로 남기기


업체에 ‘추가 금액 발생 여부’를 명확히 물어보기


견적서에 항목 추가 및 단가 기록 요청


작은 공정 하나가 몇십만 원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모든 변경은 기록으로 남겨야 불필요한 추가 비용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비용절약
인테리어비용절약


마무리하며

인테리어 견적을 제대로만 읽어도

최소 100만 원 이상의 비용은 충분히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예쁜 인테리어는 감성으로,

합리적인 인테리어는 기획력과 질문력으로 만들어지는 것.


‘호갱’이 되고 싶지 않다면


견적 항목 비교


자재 선택 전략


공사 범위 조절


서면 계약 철칙

을 꼭 기억하세요.


내 집을 위한 인테리어,

돈은 적게 들이고, 만족은 크게 남기는 방법,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인테리어 후 어디까지 해야 할까? 입주청소의 숨겨진 범위 확인하기

자취생 필수템! 작고 효율적인 자취방 수납 & 인테리어 아이디어

월세 살이도 로망 있게! 최소 비용으로 원룸 분위기 확 바꾸는 법